
서버리스 Cloud Native Patterns Legacy : 인프라부터 애플리케이션까지 구축 IaaS : 하드웨어와 가상화 OS 등 인프라 요소를 서비스로 제공(EC2) Caas :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컨테이너를 호라용하여 배포(ECS) Paas :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인프라와 런타임 환경을 제공(Elastic Beanstalk) FaaS : 실행할 함수코드만 구현(Lambda) Saas :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사용(Gmail) 서버리스의 형태 Baas(Backend as a Service) Faas(Function as a Service) Baas는 그동안 개발자가 직접 구현하던 백엔드의 부분부분을 서비스로 제공받는 것(Auth0, AWS Cognito, Firebase). F..
sort + ramda 람다 표현식이란 식별자 없이 실행 가능한 함수를 말하며, 함수 선언 없이도 하나의 식으로 함수를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다. letters = ['let1 art can', 'let2 own kit dig', 'let3 art zero'] letters.sort(key=lambda x : (x.split()[1:], x.split()[0])) # 출력 : ['let1 art can', 'let3 art zero', 'let2 own kit dig'] 식별자를 제외한 문자열 [1:]을 키로 하여 정렬하며, 동일한 경우 후순위로 식별자 [0]를 지정해 정렬되도록, 람다 표현식을 이용해 정렬할 수 있다. 출처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글 : 박상길 그림 : 정진호) [책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