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f(kakao)2022 이게 돼요? 도커 없이 컨테이너 만들기를 정리해봅니다. 저는 ubuntu server 22.04 환경에서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컨테이너 왜 쓸까? 다양한 서버 환경. 서버의 사양, OS 종류, 설치 환경 운영 비용 증가.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환경 별로 대응이 어려움 서버 환경에 구애 받지 않을 수 있을까? 앱 전용 환경 만들기 패키징 격리 자원 할당 애플리케이션의 전용 환경을 제공합니다. 컨테이너의 사용 요건 리눅스 기술 런타임(컨테이너 관리 도구) 쿠버네티스 실습 환경 구축 root 사용자로 /tmp 디렉토리 밑에서 실습을 진행합니다. sudo -Es cd /tmp # 필요 패키지 설치 apt-get update \ && apt-get -y install gcc \ && a..

이번 블로깅에서는 효율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네임스페이스(Namespace), 컨피그맵(ConfigMap), 시크릿(Secret)의 사용 방법을 알아봅시다. 네임스페이스(Namespace):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구분하는 장벽 쿠버네티스에서는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해 네임스페이스(Namespace)라는 오프젝트를 제공합니다. 간단히 생각해 네임스페이스는 포드, 레플리카셋, 디플로이먼트, 서비스 등과 같은 쿠버네티스 리소스들이 묶여 있는 하나의 가상 공간 또는 그룹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면 마치 하나의 클러스터에서 여러 개의 가상 클러스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처럼 느껴질 것 입니다. 네임스페이스 기본 개념 이해 네임스페이스는 namesp..